본문 바로가기

비타민C2

비타민C 풍부한식품 필요량 결핍증 과잉증 비타민C 필요량 백혈구 비타민C는 비타민C의 저장량을 잘 반영해주는 지표로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산화스트레스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도 증가한다. 호중구의 비타민C 농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비타민C 섭취량을 근거로 비타민C 평균필요량을 75mg/일로 산정하고 이 값에 변이계수를 고려하여 100mg/일을 우리나라 성인 남녀의 권장섭취량으로 설정하였다. 노인기에 비타민C 필요량이 감소한다는 근거가 없으므로 노인의 권장섭취량도 동일하게 100mg/일로 정하였다 2001년 우리나라 국민건강 영양조사에서 성인의 1일 비타민C 섭취량의 중앙값은 남자 116.6mg, 여자 139.3mg으로 충분히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알코올 중독자나 저소득층 사람들, 치아를 상실한 노인들에게서 섭취량 저하에 따라서 비.. 2024. 1. 31.
비타민C 체내기능 흡수 대사 알아보기 비타민C는 모든 생물 조직 내에 존재하며 대부분의 포유동물은 포도당으로부터 합성할 수 있다. 그러나 사람, 기니 피그, 원숭이, 조류, 박쥐, 생선류 등과 같이 굴로노락톤 산화 효소가 없는 동물은 비타민C를 자체 생성하지 못하므로 식품을 통해 공급받아야 한다 체내에서 비타민C 활성을 지니는 물질로는 환원형인 아스코르브산과 산화형인 디히드로아스코르브산이 있다 이 두 형태는 상호 전환되면서 환원 작용을 하지만 디히드로아스코르브산이 더 산화되면 비가역적 반응 산물인 디케토굴론산이 생성된다 디케토굴론산은 생리활성이 없으며 수산이나 다른 L-트레오닌산으로 분해된다 비타민C는 건조상태나 산성용액에서는 비교적 안정하나 수용액에서는 열, 알칼리 등에 의해 쉽게 파괴된다. 또한 산소가 존재할 때 가열하면 분해속도는 온도.. 2024.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