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간
성인의 체내에는 대략 20mg의 망간이 있으며 주로 간, 골격, 췌장, 뇌하수체에 존재한다. 세포내에서는 핵이나 미토콘드리아와 같은 소기관에 존재한다.
망간 흡수와 대사
망간은 성인의 경우 식이에서 5% 정도로 소량만이 흡수된다고 추정되나 식이 내의 망간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흡수 효율은 줄어든다. 망간은 소장에서 흡수되는데 처음에는 소장내강 내에서 흡수되고 점막세포를 따라 이동하는 두 단계를 거친다. 망간은 결합 부위에 대해 철분이나 코발트 같은 다른 금속과 경쟁적으로 흡수되므로 이런 이온이 존재하면 흡수가 저해된다. 흡수된 망간은 α-2-마크로글로블린과 결합하여 문맥을 거쳐 간으로 이동한다. 철분과 마찬가지로 망간의 일부는 3가 이온으로 산화되고 혈장내 이동 단백질인 트랜스페린이나 망간을 이동시키는 단백질인 트랜스망가민과 결합하여 간 이외의 다른 조직으로 이동한다. 망간은 거의 대부분이 담즙을 통해 대변으로 배설되며 매우 소량만 소변으로 배설된다. 체내의 망간 상태는 담즙을 통해 배설되는 양으로 조절된다.
체내기능
금속효소의 구성요소
망간은 금속효소의 성분으로 성분으로 존재하며 피루브산 카르복실화효소, 아르기닌 분해효소, 글루타민 합성효소와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의 보조인자로 작용한다. 피루브산 카르복실화효소는 피루브산에서 당질을 합성하는 첫단계에 관여하는 효소로, 망간이 부족하면 이들 효소의 활성이 떨어진다. 수퍼옥사이드 디스뮤이즈는 수퍼옥사이드유리기를 파괴하는 작요을 하여 지질의 과산화를 방지한다. 아르기닌 분해효소 요소 형성 반응을 촉매한다. 글루타민 합성효소는 체내에서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반응을 촉진시키며, 특히 뇌에 고동도로 존재한다.
여러효소를 활성화시키는 기능
망간에 의해 활성화되는 효소에는 가수분해효소, 인산화효소, 탈카르복실화효소 및 전이효소 등이 있다. 이들의 작용에 따라 당질이나 단백질, 지질의 대사에 관여하고 뼈나 연골조직의 형성에 기여한다. 망간에 의해 활성화되는 효소는 망간에만 특정적인 것은 아니며 다른 금속, 특히 마그네슘에 의해서도 활성화된다.
망간의 필요량 및 풍부한 음식
사람에게 필요한 망간의 양은 비교적 낮다. 미국에서 책정한 망간 섭취적정량은 성인의 경우 하루 2.0~5.0mg이다. 이 수치는 대부분의 서구인의 식이에 함유된 망간의 양이며 이정도면 결핍이나 과잉증세를 보이지 않는다는 데에 근거를 두고 있다. 그러나 망간의 흡수를 저해할 만한 요인이 있다면 망간의 평혀앙태를 유지하기 위해 10mg 정도로 좀더 많은 양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인의 안전하고 적절한 망간 섭취는 미국의 자료를 바탕으로 2.0~5.0mg으로 하였다. 망간은 식물성 식품에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다. 호두, 땅콩, 등의 견과류, 귀리, 쌀겨, 전곡류, 도정하지 않은 곡류로 만든 시리얼, 콩류 등이 좋은 급원이다. 반면 도정한 곡류, 어류나 육류, 유제품에는 소량만이 함유되어 있다. 한국인의 망간 섭취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망간 결핍증과 과잉증
동물실험결과 망간이 결핍되었을 때 성장장애, 생식장애 뿐만아니라 뼈와 연골의 형성에 변화가 생기고, 지질 및 당질 대사의 이상 등이 나타난다. 망간은 식물성 식품에 널리 존재하고 인체는 소량만 요구되므로 일반인에게서 망간의 결핍증은 잘 나타나지 않는다. 몇몇 사례 연구나 실험결과를 보면, 망간 결핍시 체중이 감소하고 머리카락이나 손톱 및 발톱이 잘 자라지 않으며 피부염이나 저콜레스테롤혈증이 관찰 되었다. 망간 결핍시 뼈가 약해지거나 골다공증, 관절질환 등 골격계 질환이 발생하기도 한다. 망간의 과잉증은 탄광에서 일하는 근로자나 망간에 장기간 노출된 인부에게서 관찰된다. 증상으로는 심한 정신적 장애, 환상, 과행동증, 근육 조절의 이상을 보이며 불안정해지거나 성격이 포악해지는 수가 있다. 간이나 중추신경계에 망간이 과다하게 축적되면 파킨슨병과 유사한 신경근육계증세가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