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8 나이아신 풍부한 식품 필요량 결핍증 과잉증 알아보기 과거, 펠라그라를 풍토병으로 여겼으나 나이아신 결핍에 의한 질환임이 밝혀졌다. 펠라그라에 걸리면 피부염증과 설사 증상이 나타나는데 심해지면 신경장애를 보이고 결국 사망에 이른다. 트립토판이 나이아신의 전구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펠라그라 치료가 쉬워졌다. 나이아신의 함량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단위는 나이아신 당량으로, 60mg의 트립토판은 1mg의 나이아신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전환과정에 리보플라빈과 비타민 B6의 조효소가 사용된다. 나이아신은 니코틴산과 니코틴아미드의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각각 카르복실기 또는 아미드기를 갖고 있다. 이 두 물질은 물과 알코올에 잘 용해되며 건조한 상태에서는 안정하지만 용액 상태에서는 120℃ 고온에 불안정하다. 나이아신의 조효소 형태는 니코틴아미드 디뉴클레오.. 2024. 1. 23. 리보플라빈 흡수 대사 체내기능 풍부한식품 결핍증 리보플라빈 리보플라빈은 수용성 영양물질 가운데 비교적 열에 대한 안정성이 높은 성장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형광의 노란색을 띤다. 리보플라빈, 티아민, 나이아신은 동일 식품에 많기 때문에 리보플라빈만 단독으로 결핍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리보플라빈은 3개의 6환 고리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인 플라빈에 리비톨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구조적으로 전자를 쉽게 내주거나 결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땜누에 산화-환원 반응의 조효소로서 적합하다. 플라빈 모노뉴클레오티드과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가 리보플라빈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조효소이다. 대부분 식품 중의 리보플라빈은 조효소 형태로 존재하며, 우유에는 유리 형태로 존재한다. 리보플라빈 흡수와 대사 식품 중의 리보플라빈은 주로 플라보단백질 형태로 단.. 2024. 1. 22. 비타민D가 풍부한 식품 결핍증 과잉증 비타민D가 풍부한 식품 햇빛을 충분히 받지 못하여 신체에서 요구하는 만큼의 비타민D를 합성할 수 없은 경우, 식품에서 비타민D를 섭취하여야 한다. 자연식품의 경우 대부분 비타민D가 전혀 없거나 아주 소량 함유되어 있으며 자연식품으로 비타민D를 함유한 것은 이스트나 생선 간유 등으로 몇가지에 제한된다. 식품을 통해 비타민D를 공급 받으려면 정어리와 같은 기름기 많은 생선을 섭취하거나, 강화우유, 강화시리얼 등 비타민D를 강화시킨 식품을 선택해야 한다. 버터, 간, 일부 마가린 등에도 약간의 비타민D가 함유되어 있으나 이들 식품으로부터 비타민D를 얻기 위해서는 굉장히 많은 양을 먹어야 하므로 중요한 급원식품은 아니다. 분류 식품 목측량 중량(g) 비타민D (㎍) 곡류 및 전분류 건포도 콘플레이크 1/4컵 1.. 2024. 1. 21. 비타민D 합성 흡수 대사 체내기능 필요량 비타민D 비타민D는 비타민D의 활성을 가진 화합물들의 총칭으로, 비타민D2와 비타민D3가 대표적이다. 다른 비타민과 달리 비타민D는 빛의 자극을 받아 체내에서 합성될 수 있으며 작용기전이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유사하여 프로호르몬이라 부르기도 한다. 햇빛을 충분히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비타민D가 많이 함유된 식품이나 비타민D 보충제를 섭취해야 하는데, 비타민D2는 식물성 급원으로부터, 비타민D3는 동물성 급원으로부터 각각 섭취할 수 잇다. 미타민D는 천연 식품 중에 널리 분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일부 유제품에 첨가되는 경우가 많다. 모든 나라, 모든 유제품에 강화되는 것은 아니므로 유제품 선택 시 영양표시를 확인해야 한다. 우리나라 유제품 중에도 일부제품에만 비타민D가 강화되어 있다. 합성 비타민D는 자외.. 2024. 1. 20. 이전 1 ··· 5 6 7 8 9 10 11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