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8 비타민B6 풍부한 음식 필요량 결핍증 과잉증 정보 비타민B6 필요량 비타민B6는 식품에 함유된 형태에 따라서 생체이용률이 다르기 때문에 적정 섭취수준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주로 이용하는 식품 급원이 무엇인지를 고려해야 한다. 혈장 피릳고살인산 수준을 30nmol/l 정도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섭취량과 우리나라 사람들이 주로 체내이용률이 60~70%로 낮은 식물성 식품으로부터 비타민B6를 섭취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성인 남, 녀의 권장섭취량을 각각 1.5, 1.4mg/일로 권장하였으며 노인기에도 동일한 수준을 섭취하도록 권하였다. 임신기에는 단백질 필요햘이 증가하므로 비타민B6의 필요량도 함께 증가한다. 비타민B6는 거의 대부분의 단백질과 아미노산 대사에 사용되기 때문이다. 임신기 아미노산의 교체율과 태아의 비타민B6 요구량 등을 고려하여 하루 0.8.. 2024. 1. 27. 비타민B6 흡수 대사 체내기능 알아보기 조제유를 고온에서 삵ㄴ하는 과정에서 비타민 B6이 파괴되어, 그 조제유를 먹은 영아들에게서 신경전달물질 합성이 감소되었으나 비타민 B6를 보충해서 성공적으로 치료가 가능했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와같이 조제유를 제조할 때에는 영양소의 보존, 특히 비타민 B6의 보유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피리독사민과 피리독살은 알칼리 환경에서 특히 열에 불안정하고, 비타민 B6는 광선에 의해서도 빠른 속도로 분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연계에서 존재하는 비타민 B6활성을 가진 물질은 피리독신, 피리독살, 피리독사민 등 세가지이며, 이들의 인산결합체도 식품 중에 존재한다. 피리독살5'-인산은 그 중에서 가장 활성이 높으며 비타민 B6의 조효소 형태로도 체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동물성 식품에는 B6가 주로 피리독살과.. 2024. 1. 26. 비오틴 풍부한 식품 체내기능 결핍증 알아보기 비오틴은 황을 포함하고 있는 수용성 비타민으로서 조효소 형태는 비오시틴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비오틴이 효소의 리신 잔기에 공유 결합된 상태로 조효소 역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생체 내에 비오시틴이 따로 유리된 상태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소화과정에서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서 리신 잔기와 함께 비오티이 분리되는 경우에는 비오시틴을 관찰할 수 있다. 비오틴 흡수와 대사 비오틴은 주로 식품 중에 단백질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비오틴 분해효소에 의해 비오틴을 단백질로부터 떨어뜨려야 흡수가 가능하다. 비오시틴의 경우에도 보통은 비오틴 분해효소에 의해 리신과 비오틴으로 가수분해된 후에 유리된 비오틴이 흡수되지만, 비오시틴 상태로 흡수되는 경우도 있다. 흡수된 비오시틴도 혈액이나 다른 조직 중에 존재하는 비오틴 분해.. 2024. 1. 25. 판토텐산 풍부한 식품 결핍증 체내기능 알아보기 판토텐산은 코엔자임 A의 구성성분으로 에너지 대사에 필수적이다. 판토텐산 흡수와 대사 판토텐산은 소장에서 쉽게 흡수된 후 인산화반응에 의해서 CoA를 형성한다, 혈액의 판토텐산은, 적혈구 내에서는 CoA 형태로는 존재하지 않고 유리된 형태인 판토텐산으로 존재한다. 판토텐산 체내기능 판토텐산의 체내 조효소 형태는 CoA이며, CoA는 판토텐산에 아실기 운반단백질 유도체와 시스테인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CoA는 영양소의 산화 및 지질 합성, 신경전달물질 합성 등 다양한 반응에 이용된다. 에너지 영양소의 산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모두 아세틸 CoA를 합성할 수 있으며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아세틸 CoA는 옥살로아세트산과 결합하여 시트르산을 형성하는데 이 과정이 TCA회로의 첫 반응으로, 에너지 합성에 매.. 2024. 1. 24. 이전 1 ··· 4 5 6 7 8 9 10 ··· 17 다음